실시간 뉴스



코로나·공급망 불안에 불확실성 ↑…내년 계획 못세운 기업 '수두룩'


기업 10곳 중 1곳만 경영 계획 '최종 확정'…경제성장률 전망, 정부보다 낮아

[아이뉴스24 장유미 기자] 코로나19 장기화 여파와 글로벌 공급망 쇼크, 주요 원부자재 가격 인상 등 여러 악재로 내년 경영 환경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우리나라 기업 10곳 중 1곳만 '2022년 경영 계획'을 최종 확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업 규제'가 한국 경제를 제약하는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혔고, 차기 정부가 경제 활성화와 국민부담 경감 등을 위해 감세 정책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우리나라 기업 10곳 중 1곳만 '2022년 경영 계획'을 최종 확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아이뉴스24 DB]
우리나라 기업 10곳 중 1곳만 '2022년 경영 계획'을 최종 확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아이뉴스24 DB]

26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30인 이상 기업 243개 사를 대상으로 '2022년 기업 경영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 내년 경영계획을 수립한 기업들은 경영계획 기조를 주로 '현상유지(53.5%)' 또는 '긴축경영(22.9%)'으로 정했다. 반면 '확대경영'으로 응답한 기업은 23.6%로 나타났다.

'긴축경영'이라고 응답한 기업들의 구체적인 추진 계획은 '원가 절감'이 80.6%로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이는 최근 불거진 공급망 쇼크, 원자재 가격 급등, 임금인상과 같은 이슈로 대다수 기업들이 원가 절감을 긴축경영의 최우선 순위로 꼽은 것으로 추정된다.

경영계획을 수립한 기업을 대상으로 2022년 투자 및 채용 계획(올해 대비)을 조사한 결과, '2021년 수준'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투자나 채용을 확대하겠다고 응답한 기업은 4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투자계획은 '2021년 수준'이라는 응답이 53.5%로 가장 높았으며 올해 대비 '투자 확대'는 24.9%, '투자 축소'는 21.6%로 집계됐다. 채용계획은 '2021년 수준'이라는 응답이 63.7%로 가장 높았으며 올해 대비 '채용 확대'는 25.4%, '채용 축소'는 10.8%로 조사됐다.

경총은 내년 투자·채용계획을 '올해 수준'으로 응답한 기업이 많은 것에 대해 "올해 4% 수준의 경제 성장을 경기회복의 신호보다는 지난 2020년 역성장(-0.9%)에 따른 기저효과로 인한 반등으로 보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그래프=경총]
[그래프=경총]

향후 ICT 기반 무인화·자동화, 무점포 영업 등 디지털 전환에 따른 전반적인 인력 수요 변화에 대해 어떻게 예상하는지에 대해선 응답 기업의 27.8%가 '무인화·자동화 등으로 인력 수요 감소가 예상된다'고 답했다. 특히 이러한 응답은 300인 이상 기업에서 31.6%(300인 미만 기업 26.1%)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응답 기업의 61.8%는 '디지털 전환이 발생해도 증감요인이 상쇄돼 인력 수요는 현재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사업 영역 및 기회 확대로 인력수요 증가 예상'이라고 답한 기업은 10.4%에 불과했다.

응답 기업들은 내년 우리 경제성장률에 대해선 평균 2.7%로 전망했다. 이는 최근 국내외 주요기관들이 전망한 내년 경제성장률 3% 수준에 비해서는 다소 낮은 수치다.

경총은 "최근 오미크론 등 코로나 변이바이러스 확산과 함께 공급망 불안 지속, 원자재 가격 변동성 확대 같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기업들의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그래프=경총]
[그래프=경총]

내년 근로자들(노조)의 임금 등 처우개선과 관련해선 '높은 임금인상(39.7%)', '성과평가 기준 개선 등 보상의 공정성·합리성 확보(38.4%)' 등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높은 임금인상 요구는 '기업실적 향상(11.5%)' 때문보다는 '근로자(노조)의 관성적 요구(42.7%)'와 '최저임금 인상(39.6%)' 등에 주로 기인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임금인상률 결정의 가장 중요한 기준이 기업의 실적이어야 함에도 기업 현장에서는 주로 실적 외적인 요인에 의해 임금인상 요구가 이루어지는 현실을 나타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 응답 기업의 39.1%는 우리 경제를 제약하는 가장 큰 문제점으로 '기업 활력을 저하시키는 각종 규제적 정책'을 지적했다. 이 외 응답은 '저출산·고령화, 양극화 심화 같은 사회·구조적 문제' 25.1%, '주력산업 경쟁력 약화와 신성장동력 부재' 19.3%, '높은 세율·반기업정서 만연 등으로 인한 기업가정신 위축' 15.2% 순으로 나타났다.

[그래프=경총]
[그래프=경총]

차기 정부의 세제 정책 방향에 대해선 54.5%가 '경제활성화·국민부담 경감 등을 위한 감세 정책'이라고 응답해 우리나라의 높은 세부담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또 증세·감세 논의보다는 '비과세·감면 축소, 면세점 조정과 같은 세제 합리화가 더 시급하다'는 응답이 33.5%로 나타났다. '복지 재원 확충 등을 위한 증세 정책'이라는 응답은 12.0%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더불어 응답 기업들은 기업의 투자 촉진을 위해 차기 정부가 우선 순위를 둬야 하는 정책으로 '규제 혁신(49.4%)', '기업 세제환경 개선(44.4%)', '노동분야 개혁(41.6%)' 등을 꼽았다.

/장유미 기자(sweet@inews24.com)

2024 iFORU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코로나·공급망 불안에 불확실성 ↑…내년 계획 못세운 기업 '수두룩'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