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은 우주] 8개월 동안 겨울잠 다람쥐…그 비밀, 우주비행사에 적용하면
#1 지구로부터 120광년 떨어진 곳으로 가는 우주선이 있다. 우주선에는 수천명의 승객과 수백명의 승무원이 타고 있다. 이들 모두는 동면상태로 캡슐 안에 잠들어⋯
-
12명 탄 어선 전복 사고…한 총리 "가용 자원 총동원 구조" 지시
4일 늦은 밤 전남 신안 주변 해상에서 12명이 탄 어선이 전복 사고를 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사고 직후 “전복 사고 인명 구조에 가용한 자원⋯
-
[주말엔 건강] 아바타 모델, 전신경화증 개인 맞춤 치료법 찾을까
국내 의료팀이 난치성 자가면역질환인 전신경화증 환자의 혈액면역세포를 동물(쥐)에 주입, 환자의 면역상태를 반영하는 전신경화증 ‘아바타 모델’을 구축했다⋯
-
이승기 씨, KAIST에 발전기금 3억 기부…홍보대사 위촉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이광형)은 가수 겸 배우 이승기 씨가 3억원의 발전기금을 기부했다고 3일 발표했다. 이승기 씨는 “인재를 육성하는 귀한 곳에 기부⋯
-
과학영재학교 2개 더…KAIST·GIST 부설로 만든다
부산에 있는 한국과학영재학교. 현재 우리나라에는 8개의 영재학교가 있다. 이중 7개는 교육부 소속이고 부산에 있는 한국과학영재학⋯
-
221억 투입, 서로 다른 위성 통합·협력적 시스템 만든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이광형)이 ‘이종 위성군 우주 감시정찰 기술 특화연구센터(Heterogeneous Satellite constellation based ISR Research Center, HSRC)’의 문을 2일 열었다.⋯
-
미토콘드리아로 약물 정확히 전달·방출한다…나노겔 개발
국내 연구팀이 약물을 세포소기관에 정확하게 전달하고, 방출하는 새로운‘나노약물전달체’ 설계 전략을 제시했다. 세포소기관이란 세포 안 원형질 가운데 특⋯
-
보이스피싱, 피해액↓ 상부조직원 검거↑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2021년보다 30%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상부조직원 검거는 2021년보다 늘어났다. 보이스피싱은 첫 피해가 신고된 2006년 이후 16년 동⋯
-
[지금은 기후위기] 긴 여름, 짧은 겨울…위기대응 시스템 만들어야
앞으로 기후는 변화의 길을 걸을 게 분명해 보인다. 더운 여름이 길어지고, 겨울은 짧아진다. 이에 따라 지금과 다른 예측은 물론 과학적 분석과 대응 시스템 마련⋯
-
생명연의 38년…'2030 바이오선도 국가 실현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설립 38주년을 맞았다. 바이오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김장성, KRIBB)이 설립 제 38주년을 맞아 1일 대전본원⋯
-
나로우주센터, 차세대발사체 선행연구 중 폭발사고 발생
나로우주센터에서 차세대발사체 관련 선행 연구를 하던 중 폭발사고가 발생했다. 화재는 1시간 만에 자체 진화됐고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과학기술⋯
-
친환경 수소, 신(新) 수전해 장치로 더 많이 생산한다
수소 산업이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하나이자 기후변화 문제 해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내 연구팀이 물 전기분해를 통⋯
-
전기 먹는 하마 '인공지능'…초전력 스커미온으로 극복한다
2016년 알파고가 바둑을 둘 때 소모한 전력은 가정집 100가구의 하루 전력소모량과 맞먹었다. 2021년 테슬라가 발표한 자율주행용 인공지능은 학습을 위한 서버 한 대⋯
-
못생겨 버렸던 '아귀'가 채소를 만나면…단백질·오메가3 풍부
2월을 맞아 제철음식 아귀 전문 음식점들에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아귀는 가장 못생긴 어류의 대표주자로 꼽힌다. 특유의 커다란 입과 음침한 회갈색 외모 때⋯
-
[지금은 과학] 획기적 암 치료제 만들 수 있을까
획기적 암 치료제가 나올 수 있을까. 국내 연구팀이 단백질 번역 후 조절의 데그론 코드를 규명해 질병 억제와 촉진의 운명 조절 가능성을 열어젖혔다. 암이나 퇴⋯
-
대전 원자력연 '연구용원자로' 재가동 하루 만에 또 자동정지
원자력안전위원회(위원장 유국희, 원안위)는 한국원자력연구원으로부터 연구용원자로인 하나로가 1일 새벽 3시 53분쯤 자동정지 됐다는 보고를 받고 사건조사에⋯
-
초록빛 혜성, 2일 새벽 지구 가장 가까운 곳 지나간다
올해 1월 28일 강원도 인제군에서 촬영한 ZTF 혜성. 2일 오전 3시쯤 혜성이 지구 가장 가까운 곳(근지점)을 지나간다. 이때 혜성은 지구로부터 약 4천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