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인도 '탈 중국' 움직임 거세다…한국기업 반사이익 기대


국경분쟁 이후 중국제품 수입대체, 투자제한 등

[아마다바드=AP/뉴시스] 반중국 시위에 참여한 인도 시위대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을 들고 시위하고 있다.
[아마다바드=AP/뉴시스] 반중국 시위에 참여한 인도 시위대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을 들고 시위하고 있다.

지난 6월15일 인도 서북부 라다크의 인도와 중국 간 국경지역 충돌로 45년 만에 사망자가 발생한 이후 양국 군사력이 증강 배치되고 지난 9월7일에는 위협사격을 주고받는 등 양측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11일 한국은행은 '해외경제포커스'를 통해 "인도와 중국 간 국경지대 분쟁을 계기로 양국의 교역이 위축되고, 당분간 인도 경제의 중국 의존도 축소 노력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도의 최대 교역국인 중국은 지난해 기준 인도 수출의 5.3%, 수입의 14.1%, 무역적자의 32.0%를 차지하고 있다.

인도의 대중국 주요 수입품목은 전자제품·부품, 기계장비, 제약원료 등이고, 주요 수출품목은 석유·화학제품, 철광석, 섬유류 등이다.

인도정부는 중국제품 수입대체, 투자제한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민간의 중국제품 불매운동도 확산되는 상황이다.

또한 인도는 그동안 중국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미국 주도의 쿼드(Quad, 4개국 안보협의체)에 유보적 입장을 취해왔으나 최근 미국과의 실무회담에서 쿼드를 통한 협의 강화에 합의하는 등 적극적 참여로 선회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은은 "단기적으로는 생산비용 및 물가 상승, 대체 공급선 확보의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인도 제조업의 생산확대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중국산 소비재 점유율 하락, 중간재 수입선 다변화 등으로 인도 시장에서 한국, 대만, 미국 등에 반사이익도 기대했다.

반중정서 확산으로 인도 스마트폰 시장에서 샤오미의 점유율은 올 5월 29%에서 6월 24%로 하락한 반면 삼성전자는 17%에서 26%로 급등하며 1위를 기록했다.

다만 중국의 경우 대(對)인도 무역비중이 낮아 인도의 대응조치에 따른 경제적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인도는 2019년 기준 중국 전체 수출의 3.0%, 수입의 0.9%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인도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적극 협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은 "글로벌 공급망(GVC)에서 중국의 대체 생산기지로서 인도의 역할을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다운 기자 kdw@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인도 '탈 중국' 움직임 거세다…한국기업 반사이익 기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