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이균성]제2의 러다이트?…스마트폰의 수난!


스마트폰은 비단 휴대폰 단말기 시장만 흔들어 놓은 게 아니다. 사용자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정치, 문화 등 사회 곳곳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트위터 같은 소셜 미디어와 결합하면서 활용도가 커지고 있다.

네트워크에 접속해 정보를 획득하고 타인과 소통하는 데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없앴다는 점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그와 비례해 해킹과 같은 문제점도 더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기술에 대해 보수적인 집단과의 갈등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스마트폰 수난시대’라고 부를 수도 있을 만큼 여러 나라에서 규제의 칼날을 번뜩이고 있다.

블랙베리의 e메일 등 각종 데이터 서비스는 고객 정보에 대한 보안을 강조해 누구도 열람할 수 없게 만든 게 문제였다. 이용하는 개인이나 기업의 경우 사적인 통화와 정보 교류의 비밀이 보장되기 때문에 더 좋지만, 보수적인 사회 지배 세력의 입장에서는 ‘못된 음모가 오가는 루트’로 여겨졌던 것이다.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 아랍에미레이트(UAE), 인도, 인도네시아 같은 나라는 공개적으로 감청 수단 제공을 요구하며 불응할 경우 서비스를 중단시킬 것이라고 협박했다. 결국 블랙베리를 공급하는 캐나다의 RIM은 실리를 위해 사우디 정부의 요구를 수용하고 말았다. 블랙베리는 이제 옛 블랙베리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UAE 등의 블랙베리 서비스 중단 결정 조치는 아직도 불투명하다. 이 나라는 오는 10월 11일부터 블랙베리의 메시지 서비스는 물론이고 e메일과 웹브라우징 서비스도 금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런 기능을 모두 빼면 블랙베리는 더 이상 스마트폰이 아닌 구닥다리 휴대폰이 되고 만다.

인도의 경우 스마트폰 서비스에 최적화된 3G 이동통신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중단키로 했다. 그 이유가 가관이다. 모든 이동통신 사업자의 망에 감청을 위한 도청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3G망을 통해 오가는 모든 사적 음성 통화와 온갖 데이터를 나라에서 다 검열하겠다는 의도를 분명히 한 게다.

이들 나라 모두 테러나 범죄로부터 국가의 안보를 보위하기 위해서라고 말하지만 인민에 대한 내부 통제를 강화하려는 의도가 없다고 장담할 수는 없을 것이다. 사우디의 한 칼럼리스트의 경우 블랙베리 같은 신기술에 대해 “악마와 거리의 바람둥이만 키웠다”고 비판했다. 블랙베리의 메신저가 ‘남녀칠세부동석’의 사우디판 계율을 위협하고 있다는 위기의식에서 나온 견해라고 볼 수밖에 없는 것.

각 나라 보수적인 지도 계급의 견제 못지않게 해커들에 의한 공격도 스마트폰을 괴롭히는 주요 요소다. 최신 기술과 시장 주도 상품을 격파하고자 하는 게 해커 본성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는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해커의 공격 본능이 사라지지 않는 한 모든 기술은 필연적으로 뚫리기 위해 존재한다. 해커에 의한 공격과 이에 대한 방어가 상당히 낭비적인 요소로 보이지만 사실 공수의 지속적인 반복은 테크노 수준의 향상을 의미하기도 한다. 또 이런 요소는 비단 기술 분야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주식 시장을 비롯해 규제와 법을 필요로 하는 모든 사회 영역에 공수(攻守)의 반복은 불가피한 일인 것이다.

최근 직격탄을 맞은 곳은 애플의 아이폰이었다.

독일 연방 정보보안청은 지난 4일(현지시간) 애플 운용체계(OS)인 iOS에 대해 '보안상 큰 허점이 있으나 치료 프로그램이 마련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사용자가 모바일 인터넷으로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악성코드가 숨겨진 PDF(인쇄물 형태의 화면) 파일을 열 경우 트래커(해킹 범죄자)가 비밀번호·e-메일 등을 엿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후 프랑스·한국 등 각국 정부도 이를 경고하고 나왔다.

특히 독일의 경우 자국 공무원들의 아이폰 및 블랙베리 사용을 금지하고 나섰다. 대신 자국 정부가 제작 지원한 '짐코2(Simko2)'라는 스마트폰을 지급키로 했다.

블랙베리의 경우 중동 국가 등에서도 문제가 된 '엔드 투 엔드(End to end)' 보안 기능이 시비가 됐다. 이 기능은 블랙베리를 이용한 메시지를 사용할 때 통신사 서버가 아니라 캐나다에 있는 RIM의 서버를 통해 암호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누구도 쉽게 그 내용을 열람할 수 없는 게 특징이다.

이에 대해 독일 정부 측은 통신망 접속에 관한 것은 특정 사기업이 아니라 정부가 관리해야 한다는 입장을 강력하게 천명한 것이다.

한편 정부 검열 및 해킹에 대한 논란과 시비는 이미 유선 인터넷과 PC에서 한바탕 격전을 치른 것들이다. 2007년 아이폰 출시 이후 스마트폰 사용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덩달아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비율 또한 치솟으면서 검열과 해킹에 관한 시비의 대상이 PC에서 스마트폰으로 옮겨졌다고 보는 게 마땅하다.

스마트폰으로서는 반드시 한 번은 건너야 할 성장통인 게다.

/캘리포니아(미국)=이균성 특파원 gslee@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이균성]제2의 러다이트?…스마트폰의 수난!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