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일본 이동통신 재판매시장이 급성장한 비결은?


후발 이통사 등장과 총무성 정책 지원 덕에 경쟁활성화

최근 눈에 띄게 확대되는 일본 내 이동통신재판매(MVNO) 시장의 배경이 후발 이동통신사의 등장과 총무성의 정책적 지원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국내의 경우 국회에 재판매(MVNO) 도입 근거를 담은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이 제출된 가운데, 재판매 규제방법 등 세부내용에 대해 사업자간 이견으로 난항을 겪고 있는 상황과 대조적이어서 눈길을 끈다.

MVNO란 주파수와 무선기지국을 기간통신사업자(MNO)로부터 임대해 독립적인 브랜드와 요금체계로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를 말한다.

일본은 1996년 1호 MVNO인 일본통신이 단순 재판매 형태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11일 KT의 정보기술(IT) 지식포털 사이트인 디지에코에 올라온 '일본 MVNO 시장의 최근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은 2007년 하반기 이후 신규 재판매사업자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의 MVNO 숫자는 2008년 9월 기준으로 33개사인데 2007년에 이 중 절반에 가까운 15개사가 진입했고 2008년에 12개사가 진입해 2007년 이후에 전체사업자의 80% 이상이 신규사업자로 등록한 셈이다.

이같은 성장을 가능케 한 뒷심의 배경으로는 우선 후발 이동통신사의 등장이 계기가 됐다는 설명이다. 일본의 후발 이통사인 이모바일(eMobile)이 2007년 3월 시장에 진입하면서 후발주자로서의 경쟁력을 개방형 플랫폼 전략에서 찾았다는 것이다.

이모바일은 초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망을 이용한 데이터서비스 MVNO 확보에 적극 나선다. NTT 도코모가 12개 MVNO에 망을 임대하고 있지만 연도별 신규 MVNO가 2007년 1개, 2008년 5개였던데 비해 이모바일은 2007년 4개, 2008년에만 11개로 망 임대에 적극적이었다.

이결과 2009년 6월 기준으로 이모바일은 15개 MVNO에 망을 임대하고 있다. KDDI가 5개사, 소프트뱅크 모바일이 6개사인 것에 비하면 눈에 띄는 차이다. 이동통신사 시장의 진입 장벽을 낮춰 새로운 경쟁을 연 셈이다.

또 다른 요인으로는 총무성의 정책적 뒷받침이 꼽힌다.

총무성이 MNO가 MVNO 망임대 요구에 성실히 응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 MVNO 진입장벽을 낮췄다는 얘기다.

총무성은 2007년 2월 MVNO사업화 가이드라인을 개정해 MNO와 MVNO간 계약이 도매 또는 사업자간 상호접속 형태로 모두 가능하게 하면서, 도매의 경우 MNO는 MVNO의 서비스 요구에 대해 합리적인 요구가 없는 한 제공해야 함을 명시했다. 상호접속의 경우 MNO는 MVNO로부터 접속요청을 받을 경우 응하도록 돼 있다.

총무성은 직접적인 지원 외에, 망접속 및 도매 요금 할인, 유심(USIM) 잠금해제 등을 통해 MVNO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했다. 또 MVNO용 표준요금이 공개돼 있는 등 망임대에 대한 MVNO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정책적 틀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노무라연구소는 총무성의 정책이 효과적으로 시행될 경우 오는 2011년 일본 MVNO시장이 1천500만 회선을 돌파하고 통신료 및 부가수입 기준 8천억엔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일본 MVNO시장은 2008년 현재 100만 회선 미만, 통신료 및 부가수입 기준 약 450억엔 규모로 추정된다.

강수연기자 redatom@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일본 이동통신 재판매시장이 급성장한 비결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