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통신·케이블TV, 미디어 빅뱅 주역으로 부상


종편 진출 뿐 아니라 기존 방송국 지분 인수도 '검토'

자산규모 10조원 이상 대기업과 케이블TV(SO) 업계의 방송 소유규제를 대폭완화한 방송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통신업체와 SO들이 미디어 빅뱅의 주역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통신사 "종편·기존 방송국, 기회는 다양"

9일 업계에 따르면 KT와 SK텔레콤 등 주요 통신회사들은 방송통신위원회가 연내 사업자 선정 의지를 밝히고 있는 종합편설채널 등에 2대 주주로 참여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동시에, 자본잠식 상태에 들어간 지상파방송 OBS나 사장 사퇴로 대주주 지분 매각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YTN 등 기존 방송사에 투자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동시에 통신회사들은 IPTV 직사채널(직접사용채널, 서비스 사업자가 직접 자사 채널을 서비스하는 것)도 추진중이다.

통신사 관계자는 "종합편성채널에 지분을 태운다면 경영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2대주주 정도는 돼야 한다"면서 "종편의 사업성이나 초기 투자금보다는 정치적인 논란에 휩싸일 지가 가장 큰 고민"이라고 털어놨다.

또다른 통신사 관계자는 "종편만 있는 게 아니다"라면서 "머지않아 역외재송신 문제 해결이 기대되는 OBS나 450억원 정도로 한전KDN(21.4%)과 한국마사회(9.5%) 지분 정도만 인수하면 대주주가 될 수 있는 YTN 등도 투자 검토대상"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60~70여명의 인사이동을 단행한 조선일보는 종합편성채널 준비를 위해 KT, SK텔레콤과 협의중이며, 동아일보는 종편진입을 위해 자사 부동산 담보출자와 함께 3개 비통신 대기업과 제휴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앙일보도 최근 경제통이자 방송 진출을 주도한 민병관 전략기획실장을 편집국장으로 선임, 종편 진출 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MSO "지역민방 지분인수 추진"

SO들 역시 새로운 미디어 판도 변화에 적극적이다. 정부가 종합편성채널을 법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최대로 지원하기로 한 만큼, 종편의 주력 플랫폼이 될 SO로서는 나쁠게 없다는 얘기다.

특히 티브로드, 씨앤앰, CJ헬로비전 같은 복수케이블TV방송사(MSO)들은 이번 방송법 개정과정에서 금지돼 왔던 지상파방송과 케이블방송간 교차 소유가 33%까지 허용된 데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권역 내 지역민방의 지분을 인수해 영향력을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케이블TV업계 관계자는 "IPTV 가입자가 7월 말 60만명을 돌파했다고 하지만, 1천500만여명에 달하는 케이블TV와는 비교되지 않는다"며 "종편 역시 IPTV보다 케이블TV에 집중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기업과 신문의 종편이나 보도채널 진입시 IPTV의 지분 소유 규제(49%까지 가능)가 더 완화돼 있지만, 기준은 케이블TV(30%)가 될 것이라는 얘기다.

방송계 관계자는 "지역기반과 막대한 자금력이 있는 MSO들이 지역민방에33%를 투자해 대주주가 되면 그 지역에서는 단순한 플랫폼업체가 아니라 방송국을 갖게 되는 셈이어서 내년 지자체 선거 등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고, SO 인허가 지자체 이양도 걱정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하지만 SBS 등 지상파방송사들은 자금이 부족해 SO를 인수하기 쉽지 않고, 33%로는 경영권을 갖기도 힘들다"면서 "9개 지역민방과 제휴관계에 있는 SBS는 고립될 수도 있다"고 평했다.

◆문제는 시기...IPTV 직사채널 뜨거운 감자

하지만, 이번 미디어법 개정이 통신사와 케이블TV에 반드시 유리한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진입규제는 분명 완화됐고 기회도 많아졌지만, 더 좋은 기회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통신사 관계자는 "900㎒ 주파수 재배치 이후 방송의 디지털전환이 가속화되면 지상파방송사들의 다채널방송서비스(MMS) 허용요구가 커질 것"이라면서 "'13년이 되면 지상파MMS가 허용될 수 밖에 없을텐데, 이는 1개의 지상파가 5~6개의 지상파로 세포분열하는 셈이어서 종합편성채널과는 경쟁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아무리 종편을 지원해 줘도 '09년 승인, '10년 사업준비, '11년경 개국이란 일정을 고려하면, 자칫 PCS와 겹쳐 실패한 시티폰(발신전용전화)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우려다. 시티폰은 '94년 출시됐지만 '97년 PCS가 상용화되면서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덕분에 시티폰 투자자들은 6천억원 가량의 돈을 날렸다.

IPTV를 서비스하는 통신사와 케이블TV간의 갈등이 '직사채널' 허용 논란으로 전면화될 우려도 제기된다.

케이블TV 업계 관계자는 "IPTV에 어떤 편성규제도 받지 않는 직사채널이 허용되는 순간 전쟁은 시작될 것"이라며 "입법과정에서 SO와 달리 IPTV에 전국서비스를 허가해 준 맥락을 잊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김현아기자 chaos@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통신·케이블TV, 미디어 빅뱅 주역으로 부상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