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KISDI "현행 정치제도, 소셜미디어 흡수 못해"


[강호성기자] 수평적이고 양방향적인 소셜미디어를 흡수하기에는 지금의 정치제도가 못따라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시민사회 내부에서 자발적으로 형성되고 있는 네트워크를 권력의 당사자로 인정하는 정부의 인식 전환도 함께 요구되고 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원장 방석호)는 10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디지털 컨버전스 사회의 정치권력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류석진 서강대 교수와 허정수 서강대 박사수료 연구진이 작성한 보고서는 권력의 변화와 컨버전스 세대의 정치의식, 그들이 구성하고 있는 디지털 컨버전스 조직의 특성을 분석해 정치영역에서의 변화상을 전망하기 위해 시도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성 권력들은 여전히 권력자원에서 우위를 가지고 있으며, 새로운 권력수단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반면 비제도적 권력 주체들의 권력자원은 정보나 지식에 빠르게 공유하고 생산할 수 있는 개방성으로 요약된다. 연구진은 정보생산과 유통에서 개방성을 갖췄다는 점이야말로 디지털 컨버전스가 비제도적 권력주체들에게 초래한 실질적인 변화라고 바라봤다.

연구진은 특히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권력의 양상은 수평적이며 양방향적인 것으로 정의하기엔 다소 이르다고 분석했다.

지금 우리 정치 제도들은 소셜 미디어라 통칭되는 모바일 SNS를 제도 내로 포섭하지 못하고 있으며 사회 변화와 인식 수준을 제도가 포섭하지 못할 경우 불만이 제도 외부로 표출돼 기존 정치의 마비 현상을 초래할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것.???

연구진은 뉴스 댓글, 포털 게시판, 토론방 서비스를 주로 이용하는 그룹을 웹1.0세대, 사이버커뮤니티, 블로그를 주로 이용하는 그룹을 웹2.0세대라고 한다면, 마이스페이스, 트위터 등을 이용하는 그룹을 컨버전스 세대로 분류했다.

연구진이 지난해 8월23일부터 27일까지 1천50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이메일 조사결과, 컨버전스 세대의 의식은 의무적 시민성이 아니라 자기실현적 시민성이며, 개인이 정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라고 믿는 정치효능감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웹 1.0세대보다 지역사회, 공동체, 시민단체 조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좋은 시민의 조건으로써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연구진은 결과적으로 민주주의 고양과 정부 기능의 효율적 작동을 위해서라도 시민사회 내부에서 자발적으로 형성되고 있는 네트워크를 권력의 당사자로 인정하는 정부의 인식 전환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강호성기자 chaosing@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KISDI "현행 정치제도, 소셜미디어 흡수 못해"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